동양화 읽는법 그 7,

2017.11.24 16:08

김일하 조회 수:510

2 . 寓意(우(살우)의(뜻의) 로 읽을 때 ,

대체로 동양화를 읽고 있노라면 몇가지요소로 나누게 되겠지만 한마디로 말 할때 祈福一邊倒(기복일변도)라고 할수가 있다. 중화문화권인 우리나라에서도 五福이라는 개념이 있드시 中國에서는 五福의 개념은 누구나 日常(일상)으로 바라고 기원했었던 것이다. 원래 五福은 四書三經중 書經 洪範編 九五福이라는곳에 쓰여져 있는  것이 그 원조이다. 즉 壽(목숨수), 富(부자부) , 康寧(편안할강,편안할녕), 收好德(거둘수,좋을호,덕덕), 考終命(고종명)이렇게 다섯을 말했는데, 多子(다자)는 빠져 있었다. 考終命 자리에  多子가 들어가게된것은 唐나라이후 郭子儀(곽자의)로 부터 비록 되였다고 하는데, 郭子儀가 安史의 亂(姜全泰의亂)을 평정하고 85세가지 富貴를 누렷을 뿐만아니라 슬하에 많은 자식을 두엇던 동양사상 가장 행복했던 사람이라 여겨져서 보통사람들이 곽자의와 같은 삶을 살아야겠다는 바람에서 多子가 대신 들어 갔다는 것이다. (세월이 지나가면 俗(풍속속)도 변할수밖에 없다는 철측을 느껴 보는 대목이다)참고로  書痙 洪範編에 는 五福에 이어 六極이라는것을 이야기 하는데 이것은 1,兇短折(흉단절) 여기서 短의 의미는 60전의 죽엄을 말한다 2,疾(병질)3,憂(근심할우)4,貪(탐낼탐)5,惡(악할악)6,弱(약할약) 이六極은 인생에 있어서 화(禍재앙)를 말하는것으로서우리들이 행복해 지기 위해서는 꼭 배우고 생각해야할 대목이다.(필자주)


1) 貴子 금술이 좋와야 아이를 갖인다.

比翼鳥(비익조)라는 새가 있는데 금술이 하도 좋와 항상 붙어 다닌다고 한다. 나래가 하나씩인데 숫컷은 왼쪽날개, 암컷은 오른족 날개로 난다는 전설의 새. 詩經(시경)에 나오는 雎鳩(저구)라는 새도 자웅이 사이가 좋와 암수중 하나가 죽으면 서로 따라 죽기 대문에멸종했다는 새 이다. 나무에도 사이가 좋와 나이태가 얼킨다는 連理枝(연리지)가 있다. 비익조가 전설의 새이기 때문에 대신 원앙새로 대신 그렸고 원앙을 鬼子로 일게 된다. 아들을 잉태하고 금슬좋게 살아야 한다는 뜻이다. 원앙금침, 원앙새 조각상등을 신부에게 주는 풍습도 이와 같으 뜻에서였다.

* 원앙새를 生蓮과 같이 그려지면  貴子生連圖(귀자생련도)라고 읽게 되는데 자식들이 줄줄이 태여난다고 읽게 된다.여기서 원앙새의 寓意는 貴子로 읽혀지기 때문에 부부금실로는 읽을수가 없다. 그러나 부부금실이 좋와야 아이를 낳게 된다는  측면에서 貴子로 읽혀진것이 아닌가 해 본다. 이때 그려진 연꽃은 활짝핀것을 그려야 한다.

*蓮果에 앉아 있는 원앙새 연적(硯滴, 잘알려진 高麗 靑瓷(청자)硯滴) 은 連果(科)貴子로 읽혀져서 과거에 연속으로 붙게 된다는 뜻이 됨으로 이를선물로 받은 부모들의 기쁨이 어떠했을까 짐작이 간다.

*어린아이 백명이 함께 노는 그림을  그려서 (민화에 많다) 百子踐孫(백자천손)으로 읽는다.

*석류를 그려서 多子로 읽는다. 붉능 열매속에 씨가 가득 해서,

*珀(호박박) 반드시 호리병 박 이여야 한다 . 포도넝쿨그림(반드시 넝쿨채 그려야)은 子孫萬代(자손만대)로 읽는다.포도는 子孫,줄거리는 蔓(넝쿨만)帶(띠대)독음이 萬代와 같아서 그렇다. 여기에 장닭을 같이 그리면 功名萬代ㅏ 된다.장닭의 다른 이름이 公이여서 그렇다.


2)모란꽃 그림은 富貴, 富貴圖라 한다.

동양화에서 가장 많이 그려지는 그림(민화를포함)인데 오늘날 인사동 뒷골목 화방에서도 그려지고 있다. 이 그림에 나비를 그리면 절대로 안된다. 三國遺事(삼국유사, 정사가 아님)에서 唐太宗 李世民이 빨강, 노랑, 흰색 모란꽃 씨를 보내며 결혼 안한 신라 선덕 여왕을 조롱하여 보낸것이라 하엿는데 동양의 Alexander라는 대왕이 더욱 문화면에 뛰여난 소양과 안목으로 성당시대로 세계를 섭력하며 동양의 루네상스시대를 만들었다는  그가 한 작은 나라의 여왕을 조롱하며 나비를 뺀 그림을 그리라고 했을까 ?(역사서의 Fiction 을 실증 하는것 같아 서글프다)  당시 당에서는 원예가 발달하여 수백종의 모란을 개발 하였다. 이중 DNA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향기가 덜한(없는) 꽃이 생겨났ㄴㄴㄴ는지는모르겠다.당시 唐에서는 모란을 그릴 때 나비는 그리지 않았었다.(망처가 모란을 좋와하여 여러종의 모란을 앞뜰,옆뒤에 많이 심었는데 나비가 날아든것을 본적이 있다) 사실 나비를 그리지 않는 이유는, 나비를 곁들이면 富貴耄壽로 읽혀져서 富貴 80세에 한한다고 읽혀 지기 때문에 그렇게 그리게 된느것이다. 그러나 모란꽃에 고양이를 그리게 될때는 반드시 나비를 그려야 하는데 ㄴ나이를 한정하지 않기 때문이다.(이는 동음이자에서 설명 한바 있어 여기서는 생약)

*모란꽃에 바위만 그려서 富貴恭壽考(부귀공수고, 소나무를 곁드리면 對富貴赤壽考(대부귀적수고)로 읽혀 진다.

*모란과 장닭을 그려서 富貴功名圖(부귀공명도)라고 읽게 된다.

*牡丹꽃과甁(병)을 같이 그리면 富貴平安圖(부귀평안도) 외 ? 병의 독음이 平과 같기 때문이다.

*모란꽃과 白頭鳥(백두조)를 같이 그리면 富貴白頭로 읽는데 이때 백두조는 반드시 쌍으로 그려서 부부흰머리가 되도록오래 살아다라는 祝이 된다.

*바위와매화,모란이 함께그려진 그림을 종종 보는데, 이를 富貴眉壽(부귀미수)로 읽는데 이는 매화의 梅(매)가 眉눈썹미) 와 동음이어서 그렇다.

*竹松백두조한쌍을 같이 그려서 頌祝白頭, 글의 뜻을 알겠지요.

*모란꽃과 해당화를 같이 그려서 富貴玉堂.


3)梅花(매화)

* 매화꽃 가지에 둥근 보름달이 걸리면 眉壽相樂(미수상락)

*매화가지에 가치가 앉아 잇으면 喜報春先(희보춘선)  .春先은 매화 꽃가지, 까치鵲(작)은  기쁜소식(임금의부름)

이상과 희망을 다짐하며 주고 받는 그림.






























































ㅅ다.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