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60세 이상 고혈압 기준 150mmHg 대폭 완화

1세기 혈압기준 하락에 온갖 입김 다국적 제약회사

환자의 지식과 권리 늘면서 건강이 바로 설수 있어

 

 

▲ 최근 미국에서 고혈압의 진단 기준을 완화하여 많은 이의 주목을 받았다. 60세 이상의 경우 수축기혈압이 150mmHg까지는 정상 범위라고 정했는데, 실로 파격적인 소식이었다.

 

 

● 고혈압 기준 계속해서 하락 이유는?

 

요즘은 관공서를 비롯하여 혈압기계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이 많이 늘어났다건강의 바로미터가 혈압이 되어버렸기 때문인데많은 사람들이 본인의 혈압과 정상 기준을 비교하며 안도하기도 하며 불안해하기도 한다과연 정상혈압의 기준은 얼마일까?

 

최근 미국에서 고혈압의 진단 기준을 완화하여 많은 이의 주목을 받았다. 60세 이상의 경우 수축기혈압이 150mmHg까지는 정상 범위라고 정했기 때문인데그 동안의 기준이 엄격해져왔던 것을 생각해봤을 때 실로 파격적인 소식이었다.

 

이는 나이가 들면서 혈압이 오르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런 현상이며굳이 손쓰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다이에 앞서 2년 전에 일본에서는 전 연령을 기준으로 할 때 147/94mmHg를 고혈압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일본에서도 고혈압의 기준이 대폭 완화된 것이다.

 

저 멀리 영국을 살펴보면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혈압이 160/100mmHg가 넘지 않으면 약물치료가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혈압의 기준은 나라마다 다르고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살펴보면미국 JNC 7 지침을 따라 140/90mmHg를 고혈압의 기준으로 정하고 있다그러나 임상에서는 120/80mmHg를 혈압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이보다 조금이라도 높으면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현실이다우리나라도 세계의 흐름에 맞는 혈압 기준치를 다시 설정해야 하지 않을까?

 

예전에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혈압이 오르는 것을 당연한 현상으로 보고 단지 불편한 증세라고만 여겼었다.

 

그러던 중 1900년대 초반에 독일에서 수축기혈압 160mmHg, 이완기혈압 100mmHg를 고혈압의 기준으로 제시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이러한 기준이 생기자 독일에서만 700만 명의 고혈압 환자가 발생하게 되었는데혈압은 적절히 관리를 해야 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생기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던 것이 1974년에 독일 고혈압 퇴치연맹이란 단체가 등장해서 고혈압 기준을 더 밑으로 내렸다수축기 혈압을 140mmHg이완기 혈압을 90mmHg로 낮춘 것이다그러자 고혈압 환자의 수는 3배로 늘어나게 되었고더불어 고혈압은 건강에 치명적인 위험 요인이라고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2003년에 또다시 고혈압에 관한 새로운 기준이 마련되었다당시 제정된 7차 미국 고혈압 가이드라인에 따르면수축기 혈압이 120에서 130mmHg이거나 이완기혈압이 80에서 89mmHg인 사람도 잠재적 고혈압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혈압을 낮추기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한다.

 

실질적으로 고혈압의 기준을 120/80mmHg로 낮춘 것으로 볼 수 있다우리나라는 미국의료시스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기 때문에일반병원에 근무하는 상당수 의사들이 정상 혈압을 120/80mmHg 이하로 강조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 고혈압이라는 병이 등장한 지 100년이 지나도록 왜 정상혈압의 기준이 점점 낮아지게 된 것일까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이지만혈압수치와 제약회사의 이익이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고혈압이라는 병이 등장한 지 100년이 지나도록 왜 정상혈압의 기준이 점점 낮아지게 된 것일까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이지만혈압수치와 제약회사의 이익이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국내 고혈압 환자수가 1000만 명이 되고이에 따른 혈압관련 진료비만 한해 2조 6,600억원이 발생하는 것만 보더라도 의약업계에게 이보다 큰 시장은 없다.

 

 

● 제약업계의 치열한 로비 공생관계

 

지속적으로 시장을 확대해야 하는 제약회사 입장에서는가이드라인을 제정하는 전문가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다실제로 2003년 미국 고혈압 가이드라인 공동 조정자 11명 중 9명이 제약 회사로부터 연구 자금을 받거나 제약 회사 주식을 소유하고 있었다그중 한 명은 무려 21개나 되는 제약 회사와 금전적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 국제적 의료 소비자 단체인 보건국제연대와 이 문제에 관심 있는 8백 명 이상의 의사는 세계보건기구의 혈압 목표치가 너무 낮게 책정되어 많은 정상인을 환자로 둔갑시킬 수 있음에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웨이크 포레스트 대학의 심장 전문의 커트 퍼버그 박사는 지속적으로 정상 혈압 범위를 낮추고 또 낮추도록 압력을 넣는 소수의 학계 권위자를 고혈압 마피아라고 묘사했다.

 

또한 국제적 의료 소비자 단체인 보건국제연대와 이 문제에 관심 있는 8백 명 이상의 의사는 세계보건기구의 혈압 목표치가 너무 낮게 책정되어 많은 정상인을 환자로 둔갑시킬 수 있음에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오히려 제약회사는 고혈압을 침묵의 살인자라고 표현하며 혈압이 높은 사람은 걸어다니는 시한폭탄과도 같다는 인식을 대중에 퍼뜨렸다그런데 이러한 폭탄의 심지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었으니바로 한 알의 약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제약회사에서 혈압약의 효과를 과장되게 부풀리면서 혈압약의 판매고는 하늘을 치솟게 되었다가령 5년간 매일 약을 복용할 때 심장마비에 걸릴 확률이 3%에서 2%로 줄어드는 약이 있을 때제약회사는 심장마비의 발병률을 33% 낮춰주는 약이라고 광고를 한다.

 

무의미하다고해도 될 만한 효과를 뻥튀기되어 전달되어도 상대적으로 의학 지식이 부족한 환자들은 정확한 사실을 알 수가 없다더 큰 문제는 약을 처방하는 의사도 말쑥한 옷차림의 제약회사 영업사원의 말을 의심 없이 받아들여 약에 대한 그릇된 신념을 갖게 된다는 점이다.

 

다행이도 최근 들어 혈압을 포함한 건강에 관한 진실이 대중매체를 통해 많이 알려지고 있다예전 상하 관계였던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가 수평적 협력관계로 변하면서 환자에게 점점 자기 선택권이 부여되고 있다더불어 선진국에서 혈압의 정상기준이 상식적인 수준으로 재설정되고 있는 모습도 매우 긍정정인 현상이다.

 

이제라도 저자를 포함한 의료인들이 이제껏 환자의 혈압을 불합리한 기준에 억지로 맞추기에 급급했던 지난 시간들을 반성해야 한다그리고 진정으로 환자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