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투리 한 켤레

-그녀는 병든 남편의 쾌유를 빌기 위해 자신의 머리카락과 
삼 줄기를 한데 삼은 미투리를 편지와 함께 남편의 무덤에 묻었다-

*사랑과 영혼 ㅡ420년 전의 편지

원이 아버지께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희어 
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셨지요. 

그런데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나와 어린 아이는 누구의 말을 듣고 어떻게 
살라고 다 버리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당신 나에게 어떻게 마음을 가져왔고, 
나는 당신에게 어떻게 마음을 가져왔었나요 

함께 누우면 언제나 나는 
당신에게 말하곤 했지요. 

"여보, 다른 사람들도 우리처럼 
서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 
남들도 정말 우리 같을까요” 

어찌 그런 일들 생각하지도 않고 
나를 버리고 먼저 가시는 가요. 

당신을 여의고는 아무리 해도 
나는 살수 없어요. 
빨리 당신에게 가고 싶어요. 
나를 데려가 주세요. 

당신을 향한 마음을 이승에서 
잊을 수 없고, 서러운 뜻 한이 없습니다. 

내 마음 어디에 두고 
자식 데리고 당신을 그리워하며 
살 수 있을까 생각합니다. 

이내 편지 보시고 내 꿈에 와서 
자세히 말해 주세요. 

당신 말을 자세히 듣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써서 넣어 드립니다. 
자세히 보시고 나에게 말해 주세요 

당신 내 뱃속의 자식 낳으면 
보고 말할 것 있다 하고 그렇게 가시니, 
뱃속의 자식 낳으면 누구를 아버지라 
하라시는 거지요 

아무리 한들 내 마음 같겠습니까 
이런 슬픈 일이 또 있겠습니까 

당신은 한갖 그 곳에 가 계실 뿐이지만, 
아무리 한들 내 마음 같이 서럽겠습니까 
한도 없고 끝도 없어 다 못 쓰고 대강만 적습니다. 

이 편지 자세히 보시고 내 꿈에 와서 
당신 모습 자세히 보여 주시고 
또 말해 주세요. 

나는 꿈에는 당신을 볼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몰래 와서 보여 주세요 
하고 싶은 말, 끝이 없어 이만 적습니다. 


현대어로 옮긴이 : 임세권(안동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원이 아바님께 (원이 아버지에게)
병슐 뉴월 초하룻날 집에서 (병술년(1586) 유월 초하룻날 아내가)

자내 샹해 날드려 닐오되 (당신 언제나 나에게 말하기를)
둘히 머리 셰도록 사다가 함께 죽자 하시더니
(둘이 머리 희어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셨지요)
엇디하야 나를 두고 자내 몬져 가시노 
(그런데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날하고 자식하며 뉘긔 걸하야 엇디하야 살라하야 
(나와 자식들 누구에게 의지하여 어찌 
살라고)
다 더디고 자내 몬져 가시는고 (다 던지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
자내 날 향해 마음을 엇디 가지며 (당신 나에게 마음을 어떻게 가져왔고) 
나는 자내 향해 마음을 엇디 가지런고 (나는 당신에게 어떻게 마음을 가져 왔었나요)
매양 자내드려 내 닐오되 한데 누어 새기보소 (함께 누우면 언제나 당신에게 말하곤 했지요) 
남도 우리같이 서로 어엿비 녀겨 사랑호리
(다른 사람들도 우리처럼 서로 어여삐 여기고 
사랑할까요?)
남도 우리 같은가 하야 자내드러 닐렀더니
(남들도 정말 우리 같을까요하며 당신에게 
말했지요)
엇디 그런 일을 생각지 아녀 (어찌 그런 일들 생각하지도 않고)
나를 버리고 몬져 가시난고 (나를 버리고 먼저 가시는가요?) 
자내 여히고 아무려 내 살 셰 업스니 (당신을 여의고는 아무리 해도 나는 살수가 없어요)
수이 자내한테 가고져 하니 날 데려가소 (빨리 당신께 가고 싶어요. 나를 데려가 주세요)
자내 향해 마음을 차승(此乘)니 찾즐리 업스니(당신을 향한 마음을 이승에서 잊을 수가 없고)
아마래 션운 뜻이 가이 업스니 (서러운 뜻 한이 없습니다)
이 내 안밖은 어데다가 두고 (내 속 마음을 어디에 두고) 
자식 데리고 자내를 그려 살려뇨하노
(자식 데리고 당신을 그리워하며 살수 있을까 생각합니다) 
이따 이 내 유무(遺墨) 보시고 내 꿈에 자셰 와 니르소 (이내 편지 보시고 내 꿈에 와서 
자세히 말해 주세요)
내 꿈에 이 보신 말 자세 듣고져 하야 이리 써녔네 
(내 꿈속에서 당신 말을 자세히 듣고 
싶어서 이렇게 써서 넣어 드립니다)
자셰 보시고 날드려 니르소 (자세히 보시고 나에게 말해 주세요)
자내 내 밴 자식 나거든 보고 (당신 내 뱃속의 자식 낳으면 보고)
사뢸 일하고 그리 가시지 (말할 것 있다 해놓고 그렇게 가시니)
밴 자식 놓거든 누를 아바 하라 하시논고 
(뱃속의 자식 낳으면 누구를 아버지라 하라시는 
겁니까?)
아무리 한들 내 안 같을까 (아무리 한들 내 마음 같겠습니까?)
이런 텬디(天地)같은 한(恨)이라 하늘아래 또 이실가 
(이런 슬픈 일이 하늘 아래 
또 있겠습니까?)
자내는 한갓 그리 가 겨실 뿐이거니와 (당신은 한갓 그곳에 가 계실 뿐이지만)
아무려 한들 내 안 같이 셜울가 (아무리 한들 내 마음같이 서럽겠습니까?)
그지그지 그지 업서 다 못 써 대강만 적네 (한도 없고 끝도 없어 다 못 쓰고 

대강만 적습니다)
이 유무(遺墨) 자셰 보시고 (이 편지 자세히 보시고) 
내 꿈에 자셰히 뵈고 자셰 니르소 (내 꿈에 당신 모습 자세히 보여주시고 또 말해 주세요)
나는 다만 자내 보려 믿고있뇌 이따 (나는 꿈에 당신을 볼 수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몰래 뵈쇼셔 (몰래와서 보여주세요)
하지 그지 업고 이만 적소이다. (하고 싶은 말 끝이 없지만 이만 적습니다)



이 편지는

1998년, 택지 개발이 한창이던 경북 안동시 정상동 기슭에서

주인 모를 무덤 한 기의 이장(移葬) 작업이 있었다.

시신을 보호하는 외관(外棺)은 갓 베어 놓은 듯 나뭇결이 살아 있어

혹시 최근에 조성된 무덤이 아닌가 추측 되기도 했다.

그러나 야간까지 이어진 유물 수습 과정에서

무덤은 수백 년 전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유물을 절반쯤 수습했을 무렵 망자의 가슴에 덮인 한지(韓紙)를

조심스레 벗겨서 돌려 보니 한글로 쓴 편지가 있었다.

남편의 갑작스런 죽음을 맞으며 아내가 쓴 이 편지는

수백 년 동안 망자(亡者)와 함께 어두운 무덤 속에 잠들어 있다가

이장하는 과정에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사랑하는 이를 잃은 슬픔을 고스란히 전하며 심금을 울렸던 이 편지는

남편의 장례 전까지의 짧은 시간 동안 씌어진

죽은 남편에게 그 아내가

꿈속에서라도 다시 보기를 바란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아내는 지아비에 대한 절절한 그리움으로

하고픈 말을 다 끝내지 못하고

종이가 다하자 모서리를 돌려 써내려 갔다.

모서리를 채우고도 차마 끝을 맺지 못하자

아내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 거꾸로 적어 나갔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구절절 그리움으로 아로새겨진 편지

주인공이 세상을 뜬 것이 1586년 5월이고, 묘가 발굴되고 유물과 함께

그의 얼굴이 다시 세상에 나온 것이 1998년 5월이니, 꼭 412년 만에

그들 부부의 지극한 사랑이 다시 확인된 것이다.



이 편지 외에도 많은 유물들이 수습되었는데

남편의 머리맡에서 나온 유물은 특히 눈길을 끌었다.

처음에는 그것이 무엇인지조차 파악되지 않았지만 겉을 싸고 있던

한지를 찬찬히 벗겨 내자 미투리의 몸체가 드러났다.

조선시대에는 관 속에 신발을 따로 넣는 경우가 드문데다

미투리를 삼은 재료에 대한 궁금증이 더해져

이 미투리에 대한 의견이 분분했다.

검사 결과 미투리의 재료는 머리카락으로 확인되었다.

왜 머리카락으로 미투리를 삼았는지

그 까닭은 신발을 싸고 있던 한지에서 밝혀졌다.

한지는 많이 훼손되어 글을 드문드문 읽을 수 있었다.

"내 머리 버혀........(머리카락을 잘라 신을 삼았다)"

그리고 끝에는 "이 신 신어 보지..........(못하고 돌아가셨다)"는

내용들이 얼핏얼핏 보였다.

편지를 쓸 당시 병석에 있던 남편이 다시 건강해져

이 미투리를 신게 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으로

머리를 풀어 미투리를 삼았던 것이다.

아내의 헌신적인 보살핌에도 불구하고 남편이 죽자

그녀는 이 미투리를 남편과 함께 묻은 것이다.



 

유물 중엔 아내의 편지 외에도 2편의 시와 11통의 서신이 있었다.

이 편지들 가운데 9통은 망자의 아버지가 아들에게 보낸 것으로, 모두 묻힌 이가

죽기 1년 전에 쓴 것들이었다. 한문 초서로 흘려 쓴 이 편지에서도 중요한 단서가 발견 되었다.

아들 응태에게 부치는 편지(子應台寄書)에서 피장자의 이름이

응태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31년 아우와 함께했다"는 형의 글에서

뭍힌 이가 서른한 살에 죽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물에서 확인한 단서를 정리하면

묻힌 이는 고성(固城) 李氏 가문의 응태라는 남자였고, 그에겐 형이 있었으며

서른한 살(1586년)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편지에서 아내는 남편을 자내(자네)라고 부르기까지한다.

"자내다려 내 닐오되(당신에게 내가 말하기를)........".

"자내 몬저 가시난고(당신 먼저 가시나요).......". 등

이응태의 처는 남편을 가리켜 "자내"라는 말을 모두 14번 사용했다.

요즘 부부라 하더라도 아내가 남편을 자네라고 부르는 경우는 드문데

어떻게 자내란 말을 서슴없이 할 수 있었을까?

순천 김씨의 간찰(簡札)에서 아내가 남편을 그 사람이란 의미의 3인칭으로

지칭한 예는 있어도 이 시기에 씌어진 글에서 아내가 남편을 대놓고

"자내"라고 부르는 경우는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응태 처의 편지는 임진왜란 전까지 부부가 모두

자내라는 말을 사용했음을 알려준다.

기본적으로 이런 "하소체"는 서로 대등한 관계로 보아야 한다.

이응태 아내의 편지는 그들이 살던 시대에 남녀가 대등한 관계였음을 시사하는데,

이것은 우리가 알고 있는 조선시대와는 동떨어진 모습이다.

400년 전 진실로 서로를 사랑하며 백발이 될 때까지 함께 해로하고자 소망했던

이응태 부부의 육신은 비록 떨어져 있을지언정 그들의 영혼은 지난 세월 동안에도

줄곧 함께였다. 죽음조차 갈라 놓을 수 없던 이응태 부부의 사랑,

긴 어둠의 세월 속에서 이 사랑을 지켜온 것은

아내가 써서 남편의 가슴에 고이 품어 묻어둔

마지막 편지였다.

원이 아빠의 형이, 동생의 관속에 넣은

형제의 애끓는 사연


"너와 함께 어버이를 모신지가
이제 서른 한 해가 되었구나
이렇게 갑자기 네가 세상을 떠나다니
어찌 이리 급하게 간단 말인가
땅을 치니 그저 망망하기만 하고
하늘에 호소해도 대답이 없다
외롭게 나만 홀로 남겨두고
너는 저 세상으로 가서 누구와 벗할는지
네가 남기고 간 어린 자식은
내가 살아 있으니 보살필 수 있겠지
내 바라는 것은 어서 하늘로 오르는 것
전생 현생 후생의 삼생은 어찌 빠르지 않겠는가
또한 내 바라는 것은 부모님이 만수하시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라네
형이 정신없이 곡하며 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4 ** 임대형 부동산 테넌트 잘 구하는 방법 ** 김승훈(41) 2018.02.08 331
» ** 무덤에서 발견한 400년전에 부친편지 ** 김승훈(41) 2018.02.04 315
532 ** 완장 ** 김승훈(41) 2018.02.04 315
531 ** How To Adjust a Delta Tub Faucet For More HOT WATER! ** 김승훈(41) 2018.01.28 368
530 ** 남성 정력에 좋은 음식 9가지 ** 김승훈(41) 2018.01.26 384
529 ** 무릎통증,허리통증,팔통증에 관한 원인과 해결책 ** 김승훈(41) 2018.01.25 300
528 ** 故 황수관 박사 추모특집 ** 김승훈(41) 2018.01.19 240
527 ** 셰이크핸드쇼트 ** [5] 김승훈(41) 2018.01.17 237
526 ** 아내가 돼줄래 ** 김승훈(41) 2018.01.16 455
525 ** 얼굴이 펴야 인생이 핀다 ** [2] 김승훈(41) 2018.01.16 299
524 ** 중졸 두 아들 가르쳐 서울대 보낸 노태권 ** 김승훈(41) 2018.01.15 241
523 ** 모텔 청소부가 쏘아올린 숙박 O2O서비스 신화 ** 김승훈(41) 2018.01.15 270
522 ** 쟈니윤 과 쟈니 카슨 ** 김승훈(41) 2018.01.14 285
521 ** 1분 안에 잠드는 놀라운 수면법 ** [2] 김승훈(41) 2018.01.11 309
520 ** 한인 이민자가 할 수 있는 직업 69가지 상세분석 ** [2] 김승훈(41) 2018.01.11 485
519 ** 젤라틴의 여러가지 효능 ** [1] 김승훈(41) 2018.01.10 368
518 ** ‘천종산삼은 없다’ ** 김승훈(41) 2018.01.07 540
517 ** 사업하려면 꼭 알아야할 3가지 ** 김승훈(41) 2018.01.06 275
516 ** 지금, 현재, 순간에 살자 ** [1] 김승훈(41) 2017.12.31 297
515 ** 대인관계를 좋게하는 10가지 방법 ** 김승훈(41) 2017.12.31 300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