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화 읽는법

2018.03.04 17:40

김일하 조회 수:455

2. 君子圖(군자도);

1) 四時群芳圖(사시군방도),

四季節 꽃을 (계절에 관계 없이) 잔득 한꺼번에 꽃병에 곶아 놓고 그린 그림을  말 하는데 (마치 서양화같이)  요즈음 많이 그려지는 그림이다. 이런 그림을  四詩群芳이라 畵題 한다. 이런 류의 그림은  꽃보다 그  香을  간접 표현하기 대문에 그 주제는 香이 되게 된다( 周易 = 親賢如就芝蘭에 연유) 원래  香氣는  엣부터  君子를  뜻 했는데 이는   周易에서 君子豹變小人革面(군자표변소인혁면) 이라는  구절에서  연유된 것으로 즉 인격이 완성된자 (君子)는 그 변화가 뚜렸해서 마치 표범의 무늬와 같으나 小人(군자와 상대되는 자)  은 그와 반대로 얼골  표정만 그럴듯 하게 만든다 라는 뜻 이다.  마치 深深幽谷(심심유곡)에 피여있는 蘭草가  香氣를  발하며 피엿음을 사방에 알리는것 처럼  君子는 그 人品(君子之德 )을  주위 사람들에게 감화를 주어 그의 理想을  실현케  된다는 뜻으로  이런 그림을  주고 받으며  君子의 정신을  되 새겼다는 것이다.

2) 梅蘭菊竹 의 四君子圖,

여기 梅蘭菊 은 군자의 香, 竹은  君子의 節槪를 표현 하지만(소나무도 절개, 獨也靑靑하기 떼문에) 대나무는 香氣는 없어도  節槪(절개)를  옛사람들은  향기로  읽었다. 옛사람들은  菊花를  가르켜 凌霜孤節(능상고절) 이라 하며, 모든것들은 가을에는  다 떨어 지는데 오직 국화만은 찬 서리를 무릅 쓰고  곱게 곱게 피어서 맑은 향기를 토하는 것이 아름답고 사랑스러워 하며  모든 이 들에게서 칭송을  받는다는 뜻에서 군자의 인격으로 표현 되였다. 

3. 松竹梅蘭을 같이 그려서, 四時靑香 이라 題하기도 하했는데 역시 君子圖 의 일종.

4. 松竹을  같이  그려  二友圖 라  題 했는데  여기서도  節槪를  중시하는 君子道 를  사모하며  君子 를  숭모 한다.

5. 蘭草. 역시 君子를  의미 하는데, 朝鮮朝 文人으로서 蘭을  치지 않은 사람은  아마  한 사람도 없을 것아다. 우선 그리기가  쉬웠던 측면이 있었던 것이 연유가  아닐까  ?  생각해 보았다. 蘭草는  대원군의 것을  神品 으로 친다.

 

君子道에 대하여;

君子道란 人道즉 사람이 가야할 길,  즉  인격(품성 品性)을  배운다는 敎(가르칠 교) 라는  것이다. 人格(Presonality) 이란 무엇인가 ? 우리말 큰 사전에 , 인격은 사람의 品性(됨됨이), 자격 즉 개인의 知情意, 즉 인체의 측면을 총괄하는 전체의 통일체, 윤리적으로는 도덕적 행위의 주체, 법륭관계에서는 권리, 의무의 주체, 종교적으로는 神에 대하여 인성을 갗춘 품격 즉 신격(神格),사회적으로는 공동사회의 주체 라 적혀 있다. 論語(孔子敎)에서는  이렇게 말하는 인격(품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  孔子敎 는  인격, 인간의 品性을  德 (덕) 이라는 말로 총칭 한다.  儒敎에서 말 하고 있는  德이란  우주의 법칙이 인간에 의해  확득되여 현실적으로 구체화 한것을  德 이라고 한다고 한다. 구체화한 德의 요소는 무엇인가 ? 그것이  仁知勇 (인지용) 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德(君子道)의 도뎍적 자격(仁知勇)에 대하여  알아 보자. 

1. 仁 이란,  사욕이 없는  善意(선의)

2. 知 는,  배워서 사리(事理) 를 통하여 天命(천명)에 순응 한다. 고로 의혹할 일이 없고 안심 한다.

3. 勇이란, 의리(義理)가 깊고, 節操(절조)가 굳세다 고로 두려울 것이 없다.  論語, 憲問三十에서,

孔子께서는 이 셋 중에서 으뜸인  仁은  德의 최상의 요소라 하며 강조 하였다. 예수께서 信望愛를 이야기하며 愛가  으뜸이라 한 것과 상통 한다.

*우리가 흔히 말 하고 있는  士(선비사), 선비는 君子가 되려고 수양하며 배우는 사람들 이다.

孔子敎의 論語사백오십여장은 道(孔子의 평생 가르침), 德, 仁을 제자들의 개성에 따러서 설명 했기 때문에 우리들 누구의 유형에도 맟춰 질 수가 있어서 ( 사람의 측면을 총괄하는 전체적 통일성, 윤리적으로 도덕적 행위, 법률관계에서의 측면, 종교적 관계에서의 측면, 공동사회적인 측면을 망나) 그 실천면에 있어서도 이해함이 쉽겠다. 우리가 흔히들 道아래 德을 붗쳐서 道德이라고 한다. 이 德字를  얻을득 인, 得으로 한다면 道得(得道)이 되는데 이 말의 뜻은 孔子敎의 이론을  몸에  익혔다는  뜻이 되고, 그것을  體得이라고 한다면 , 이 體得은 곧  修得이라는  뜻이 된다. 우리가  천성으로 갖이고  태여난  品性인  仁義禮智信의 능력을  갖이고  修得(수양하며 얻는다) 한  결과로  얻은  仁知勇이  德이고  이 것을  行 하면 그것이 道라 헀다. 孔子께서는 " 나의 道는 하나로 관철(觀徹) 하였다 " 말 하고 있는데 이는 이를 두고 하는 말 이다. 여기서 나의 道라는 것은  孔子께서 평샹  생 行 했던 일관성 있었던 가르침을 말 한다. 그 하나란 다름 아닌 성실과 인정인데, 이 성실과 인정이 仁이 되는 것이다. 이 仁이 성실과애정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것으로  體得한 德을 가르치고 , 行하게 하는 勇氣(실천력)을 人道라 하였다. 즉  "仁이德이고 德이仁이다" 君子란 이런 德性을 갖인 人格者를 말 하게 된다. 論語 중에서 공자님의 어록  몇개를  뽑 아  소개 함으로서  글을  맺으려 한다. 

1. 혹자가 은덕으,로  원수를 대 한다면 어덯겠슴니까 ?  孔子曰, 그렇다면 은덕에는 무엇으로  대  할것이냐 ?  정의로서 원수를  대 하야할  것이며 , 은덕은  은덕으로  갚아야 할 것이다. 論語, 憲問36.

2. 中庸의 힘은 至高至善인데 이를 行 하는자 옛부터 매우 적구나. 擁也 27.

3. 큰길에서 듣고 작은 길에서 바로 말하는것은 덕을 버리는 것이다. 陽貨 14.

4. 비속한 마음에서 용납되는 거짖 점잔은 덕의 적이다. 陽貨 13.

5. 나는 紫色이 朱紅의 자리를 뺏는 것을 미우ㅏ한다. 鄭나라의 音樂이 雅樂을 어지럽게 하는것도 미워 한다. 달변으로 나라를 망하게 하는 사람을 미워한다. 陽貨 17.

6. 子貢이 물었다, 마을 사람들이 다 좋와하면 어덯습니까 ? 孔子, "옳지 않다" 마을 사람이 다 싫어하면 어덯습니까 ? " 옳지 안ㄹ다. 마음이 좋응자들이 좋와 하고, 악한자들이미워함만 못하디. 子路 34.

6. 사람을 관찰함에 있어 먼저 행동함을 보며, 다음은 행동의 동기를 보며, 그리고 행동의 목적을 살피면 그 사람을 알지니 그 사람됨을 어찌 속알수 있으랴. 爲政 10.

7. 子場이 德을 높이고 분별하는 길을 물었다. 孔子曰, 진실과 신의를 지키고 정의를 위하여 나아가는것이 德을 높이는 길이다. 세상 사람들은  그를  좋게 하는 사람은 살기를  바라고,  그를  싫게 하는 사람은 죽기를  바란다. 도대체  남이 살기를  바라고  죽기를  바란다는  것은 모순이다. 子貢 24

8. 유능 하면서도 무능한자 에게도 묻고,  다문  하면서도  견식이 낮은 자의 의견을  들으며, 있으면서도  없음과  같이 하고, 충만 하면서도 빈듯 하고, 남이 덤벼와도 대항하지 아니 하며, 옛날 나의 한 벗이 이와 같았니라. 太伯 5.

9. 子路가덕이 높은 인물 됨을 물었다. 孔子曰, 이함을 보고는 정의를 생각하며 위태로움을 봄고는 목숨을 버리며, 오랜 약속을 평생 이지 않으면 완전한 유덕자가 되리라. 見利思義 見危授命久要不忘平生之然爲成人矣 . 憲問 13.

10. 君子의 허물은 日蝕月蝕과 같다. 허물이 있으면 사람들이 모두 볼수 있다. 그것을 고치면 사람들은 그를 우러러 본다. 子張 21.

11. 큰 절개가 예를 범 하지 않으면 작은 절개는 다소 변경 이 있어도 무방하다. 子張 11.

12. 德行의 범위가 좁고 道를  믿되 진실치 못하면 이런사람에게 덕이 있다 없다 말 하겠느냐.  子張 2.

13. 名馬란 힘을 이름이 아니다. 그 美點을 말 함이다.  驥(천리마기) 라는 명마는 그 駿足을 갖이고 말 하지는 않는다. 즉 名馬라는  美點이 따로 있는데 ,주인을 알아보고 온순하고함부로 사나운 기질을 내 모이지 않는다. 사람도 재능만 勝(이길승)하다고 명사가 되는 것은 아니다.德을 겸비하여 자타가공인 하여야 명사 라고 한다. (驥不稱其力稱其德也)       憲問 35.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