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 무속음악(巫俗音樂).

    무속음악은 재래신앙인 굿을 할 때 사용하는 음악을 말 한다. 무당이 부르는 무악과 무당 춤에 반주 해 주는 기악이 이에 해당 한다. 무의식(巫儀式)은 지방에 따라 많이 다르다. 따라서 음악도 지방에 따라서 다를 수 밖에 없다. 무속음악권은, 서울무악권, 경기무악권, 남도무악권, 서도무악권, 동해안무악권 으로 나눈다. 서울과 서도는 강신무들이 많고, 경기, 남도, 동해안지방은 세습무들이 많다.

(1). 서울무악, 서울에서는 무당을 만신이라 하고 남자무당을 박수라고 하며 악기를 연주하는 사람을 잽이 라고 한다. 서울굿은 재수굿과 오귀굿이 중심이고 대개 당에 가서 한다. 재수굿은 대개 12거리를 하고 오귀굿은 재수굿+오귀굿이기 때문에 20거리로 한다. 서울굿에 쓰이는 악기는 장고, 바라, 피리, 해금, 대금 등이다. 장고와 바라는 대개 만신들이 치고, 피리, 대금 해금은 남자 잽이등이 연주 한다. 서울굿은 대체로 도드리 장단으로 시작하여 굿거리로 넘어 가고 다시 타령, 당악(當樂) 순으로 진행 하는데 피리, 해금, 대금도 그 장단에 맞추어 반염불이나 굿거리 타령, 당악가락을 연주 한다. 만신이 부르는 무가(巫歌)는 창부타령조 이다. 노래가락과 창부타령은 놀이 무가에서 많이 불리는데 12번째 거리인 뒷전놀이 때 이다. 이때 악기들은 수성가락으로 반주 해 준다. 

(2). 경기무악, 경기무악권은 한강 이남의 경기도지방과 충청도 일부를 포함 한다. 즉 수원, 양평, 김포, 군포, 인천, 여주, 평택 등직 모두 경기무악권 이다. 이들 무악은 서울과 가까우면서도 전라도 무악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지역이기 때문에 굿의 격식과 내용이 세련되어 있다. 음악으로 보아사는 남도굿과 함께 시나위 무악권에 들어 간다. 그래서 경기도를 따로 구분 한다. 이지방에서 사용되는 악기는 해금, 피리, 대금의 선률악기에 장구, 징, 괭가리를 곁들인 편성을 쓴다. 선률악긴는 시나위 가락을 연주 하고 장단은 남도 살풀이 계통인 도살풀이를 비롯하여, 가래조, 반설음, 올림세 등은 변화 있게 연주 한다. 따라서 만신의 무무(巫舞)도 조용하고 고운 살풀이 계통의 춤사위가 많다.

(3). 남도무악, 남도무악은 당골들의 음악이 그 중심 이다. 당골은 마을을 단위로 재래신앙에 관한 의식을 전담하던 사제역활의 무당을 말 하는데 이들은 시어머니에서 며느리로 세습 되었다. 당골집의 남자들은 악사("사니"라 부른다)로서 굿판에 따라 다니면서 무악을 연주 해 준다. 당골들은 남도음악이 예술음악으로 발전하는 과정에 있어서 중간역활을 한 중요한 인물들 이다. 판소리나 시나위, 산조는 모두 남도무악에서 발전 되어  나온 예술음악이기 때문이다. 요즘 크게하는 굿이 씻김굿(죽은자를 위한 굿)이다. 굿에 편성되는 악기는 장구, 징, 꽹가리, 젓대, 해금, 피리 등인데 형편에 따라 가감 된다. 아쟁이나, 가야금, 통소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당골이 부르는 무가는 판소리와 비슷하고 악기들의 연주는 시나위 음악이다. 근래에는 당골을 천시하는 사회풍조 때문에 당골이 거이 사라져 가고 있다.

(4). 서도무악, 서도지방은 강신무가 많은 지역 이다. 강신무들은 예능면에서 세습무 보다는 못 하다. 강신무의 굿은 노래나 춤으로 하는 부분 보다는 말로하는 부분이 많다. 서도지방굿에는 선률악기를 사용하지 않은다. 장구, 징, 꽹가리, 바라로 편성 하는데, 이중 바라는 여러개를 쓴다. 무가는 수심가조로 하고 장단은 염불타령, 굿거리를 사용하나 동작에 맞추어 적당히 친다.

(5). 동해안 무악, 동해안 무악권은 태백산맥 이동지방이 된다. 부산에서 고성에 이르는 이 지방에는 어촌을 중심으로 하여 오귀굿 과 별신굿이 성하고 세습무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이곳 세습무들은 다들 한 계통의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들이 하는 무의나 그에 수반하는 예능도 동일 하다. 이지방 무악에 쓰이는 악기는 장구, 징, 꽹가리, 바라등 타악기 뿐이다. 그러나 몇개 안되는 타악기로 연출 해 내는 그들의 무악은 매우 복잡하고 세련되어 있다. 장단은 청보나 제마수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데, 이 장단은 하나의 형식을 형성하여 여러가지 리듬 꼴을 그 안에 포함하고 있다. 무녀들의 무가선률은 메나리조 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9 한국민속예술,민속무용, 그3. [2] 김일하 2023.06.08 15
148 한국민속예술, 민춤 그 5. [1] 김일하 2023.05.21 21
147 한국민속예술, 민속춤 그4. [2] 김일하 2023.05.17 17
146 한국민속예술 , 민속 춤 그 3. [1] 김일하 2023.05.14 17
145 한국민속예술,민속 춤 그 2. [2] 김일하 2023.05.09 12
144 한국민속예술, 민속무용 그 1. [2] 김일하 2023.04.23 13
143 한국민속예술, 각론 그5. [2] 김일하 2023.04.16 10
» 한국민속예술, 민속음악 각론 그 4. [1] 김일하 2023.04.04 9
141 한국민속예술, 민속음악 각론 그 3, [2] 김일하 2023.04.02 9
140 한국의 민속예술, 각론2, 민속악 그 2.. [1] 김일하 2023.03.28 8
139 한국민속예술, 민속악 각론 2. [2] 김일하 2023.03.10 15
138 한국민속예술, 각론 2), 민속악. [2] 김일하 2023.03.02 12
137 한국민속예술, 각론. [1] 김일하 2023.02.20 10
136 한국민속예술, 각론 그1, 민속음악. [1] 김일하 2023.02.18 8
135 한국의 민속예술, 한국국악 그 3. [2] 김일하 2023.02.08 6
134 한국민속예술, 한국국악, 그 2. [1] 김일하 2023.02.03 7
133 한국민속예술; 한국음악 1. [1] 김일하 2023.01.31 3
132 한국민속예술, 구전으로 전하는 민속극 탈춤 3-2. [3] 김일하 2023.01.17 4
131 한국민속예술, 구전자료가 전하는 민속극, 3-1 탈춤, [1] 김일하 2023.01.15 5
130 한국민속예술,구전자료로 전하는 민속극 2,1 ; 김일하 2023.01.06 3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