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삼엄한 감시속에서,

   위안부들이 위안소에서 도망한다는것은 거이 불가능 하다. 업자와 군의 감시가 철저햇기 때문이다. 그 이유로, 첫째, 그들이 위안소 밖으로 나간다는 것이 간단 하지 않았고, 둘째로는, 업자들의 큰 수입원인 이들 위안부들을 어물어물 느슨하게 놓아두지 않았기 때문, 다른 큰 이유중 하나를 든다면, 군에게도 이들 위안부는 중요한 "군수물자" 였기 때문이다. 그들은 "허가되지 않은 지역의 출입이 금지 되어 있었다"(前揭,"常州주둔군내무규정"자료집41) 에 나와있는대로,,,,,,,, 위안소 주변에는 초소와 초병이 있었다. 예를들면, 야전포병 제3연대 1대대가 주둔했던 淋河에는, 성내 일각에 일본인거리와 위안소가 있었는데, 그 출입구에는 초소가 있었고 초병들이 통행을 제한하고 있었다. 뿐만아니라, 성내외를 출입하는 성문에도 초병이 있었다. ("야전포병대제3연대제3중대 湘桂작전을 생각하벼)

필리핀의 바나이島 이로이로市의 위안소에서는, 업자가 위안부들의 외출을 엄격히 감시 했는데 , 규정에 의하면 위안부들의 산보는 오전 8시부터 10시까지의 단 2시간으로 제한하고 있었다(자료집70). 내지인들과 식민지인 위안부들이, 국외점령지에 연행되어 있을 때는, 도망이라고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전전 불가능 했다. 朝鮮人 위안부 河順女(하순녀)는 다음과같이 말 하고 있다. " 上海에 와서 일년반 겨울, 눈이오는 밤, 위안소를 빠져 나왔습니다. 인력거종점까지 가니까 밤이 되었습니다. 도망은 쳤는데 갈곳이 없었고 말도 통하지질 않아서 그냥 거기서 밤을 지새웠습니다. 붓잡힐까봐 뜬눈으로 밤을 지났는데 날이 밝았슴니다. 곰곰히 생각 해 보았지만 갈곳이 없었습니다. 할수없이 위안소로 돌아와 취사장에 숨어 들었고, 허기를 채우고 있는데, 업자가 도망갔던 주제에 밥은 무슨밥하면서 먹지 말라고 했지만 나는 잠자코 밥만 먹었더니, 업자는 도망친년 ! 하며 마구 때렸습니다.(증언). 현지언어를 구사하지 못했고, 풍습습관이 다른 외지 중국, 필리핀과 같은 곳에서 탈출은 불가능 했고, 게릴라 활동이 빈번 했던 곳이라, 조선인위안부들은 적으로 간주되어 위험했고, 혹시라도 민가에 숨었다 해도 귀향 할 수단도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점령지 주민들의 경우는 어떠 했을까 ? 그 전형으로 필리핑의 경우를 보기로 하자(이하"소장"필자Hearing에 의함)

(1). 마리아, 로자, 루나, 벤손 은, 1943년4월 부터 다음해 1월까지, 루손島 안헤레스市 중심부에서 약 9개월간 감금되어 있었다. 그동안, 임신, 유산을 경험 했다. 위안소가 게릴라의 습격으로 그녀는 해방 되었다. 

(2)로지ㅅ다, 빠가투도, 나지노 는, 44년, 바나이島 에스탄시아 ,에 있는 구 제빙공장에 감금되어 있었는데, 그녀의 일상은 이러 했다. 아침 7~8시에 기상, 당번병들과 같이 군인듣의 식사 시중을 들고, 식사후, 설거질, 세탁, 청소, 점심식사까지 모두 마치면 오후

3시 경, 그리고 저녁식사, 8시가 되면 병사들이 찾아 왔다. 위생시설 양호, 병사들은 콘돔을 사용 했다고 했다. 그러나 복도에는 항시 감시자가 있었고, 창문은 좁아 탈출은 불가능 했다고 했다. 

(3). 아모니따, 바라하데아 는, 42년경, 이사벨라州 싼 디아고에서 수비병에 연행되어, 감금강간 을 당햇는데, 당시, 반항하다 장교에게 구타 당 했고, 그에게 강간당 했다. 그뒤

약 일주일간 그의 전용물이 되었다. 그가 잠든틈을 타, 철조만을 넘어, 탈출, 어머니에게로 도망했다. 이것은, 장교 전용위안부의 감금 사례 였다.

5). 경제적, 정신적구속,

  식민지출신의 위안부의 경우, 前借金(전차금)때문에, 채무노예가 되어있어서, 도망할수 없었던 이유가 그 하나 였다. 군당국은, 이들의 채무(빚을)를 없애 주려고 업자들을 지도하고 있었다. 그런데 업자의 입장은 달랐다. 빚을 지워줄수록 그들에게는 유리했기 때문 이다. 그리하여, 그들은, 위안부들에게, 병 혹은 다른 이유로, 일을 못했을 경우, 결손금을 채무로 전환 한다든지, 화장품, 의류, 일용품등을 시장가 이상으로 공급하면서, 높은 이자율을 적용했기 때문에 그들은 늘 빚에 시달렸다고 했다. 이런사태에 군이 개입할 여지는 전무 했다고 했다. 長澤健一 군의 大尉에 따르면, 빚이 있는 위안부에게는 돈 한푼도 주지 않았다고 다음과같이 말 했다. "위안부들의 일상에 필요한 모든것은, 업주의 장부에 빚으로 기재 될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업주가 이것을 돌려 받기 위해서, 예를들어, 10사람의 손님을 받았을 경우, 군에 8명이라고 기입 보고 하고, 2인분의 화대(花代)를 고리를 부쳐서 진빚을 변제 시켰다. 이런것까지 군은 알수가 없기 때문에 사실상 어쩔수 없었다고 했다. (前揭,"심리전심문보고"제2호. 자료집100) 

6). 고통으로 부터 도망가려고 마약 상용,

  군위안소 생활중 빼놓을수 없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마약상용이었다. 육체적인 고통, 정신적인 고통으로 부터 탈출하기 위하여 마약에 의존하려는 생활 태도가 위안부들 속에 적지 않게 있었다고 했다. 1944년, 한 軍曹는, 華北에서 華中, 衡陽 전방까지 뒤쫓아온 한 朝鮮人 위안부로 부터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고 했다. "朝鮮반도에서, 한 단체의 주선으로, 위문단에서 춤도추고, 노래도 하는 위문단 편성에 응모하여 중국에 와 보니, "손님을 받아라" 고 했다고 했다. 손님을 받으라는 말이 무슨 말 인지도 모르고 손님에게 갔고, 거기서 변을 당 햇다. 그후, 자포자기 하면서, 수를 더 해 가던중 차차로 익숙 해 졌다. 바쁠때는, 밥도 제대로 먹지 못 했고, 쉴새 없이 밀려드는 군인들 때문에 그냥 발을 벌리고 누어 있노라면, 병사들이 차례차례로 들어와서, 타고는 돌아가고 타고는 돌아가곤 했다. 통증을 느끼기도전에 시간은 지나가고, 하반신은 마비된 상태, 일어설라면 대단한 신고가 필요 했다. 하지를 벌리고 있었기 때문에 하복부가 팽창 고통스러웠고, 국부에 둔통이 있었다. 2,3일 쉬게되면 고통이 없어질것을 알면서도 그럴수가 없었다. 생지옥이 따로 없었다(田崎正美"환자수송제89소대"). 이런 상황이다 보니, 마약을 상용 하게 되었고, 華北에서華中으로 이동 해 왔을때,  마약박멸이라는, 중국 신생활운동 탓으로  마약구입이 어려워 졌다. 그리하여 의무실에 왔고, Morphine 주사를 구걸하게 됬다고 했다. 41년 12월, 한 위생병은, 위안부에게 부탁을 받고, Morphine을 갖고 나가려다 발각 되어 중영창30일의 처벌을 받았다(前揭, 헌병대 육군,군속비행표) 또, 12월 체포되었던 한 軍曹는, 잘 알고 지내는 위안부의 간절한 부탁으로 5월이후 수차례 Morphine을 빼 낸 죄(제 11군사령관 阿南惟畿"특별보고제출건")

7). 위안부들에게 성병 전염,

  정기적인 성병검진에도 불구 성병에 감염되는 위안부들이 많았다. 전력이 매춘부가 아니었던 위안부들은 당연히 성병을 갖이고 있지 않았다. 그들의 성병 감염은 군인들에 의해 감염된 것이다. 증언에 의하면, 19명중 7명이 성병에 감염 되어 있었다. 제15사단이

1943년 2월 南京,蕪沽,金壇,錦江,巢縣,慄水에서 시행됬던 검진 결과에 의하변 불합격자, 일본인 2.5%, 조선인 4.6%, 중국인 11% 였다 (자료집60). 합격이라 해도 성병이 전연 없었다는 것이 아니라, 경증이라는것, 따라서 영업이 가능 하다는 것, 단 영업시 방독구(콘돔)를 착용한다는 조건하에서,,,(今西義明"군의수기" ). 산부인과 전문의 였던 군의관은, 아시아태평양전쟁시, 중국에는 성병에 무감염된 위안부는 거이 없었다고 했다. 海南島

凉山에 순회위안부들이 왔을 때, 성병검사를 담당 했던 검사에서는 부인과 비전문의사가 아니었기 때문인가 전원 합격이라는 결과가 나왔다.(堀江 前揭書). 43년4월, 惟陰에서 있었던 검사 에서는 9명중 1명만 합격(原徹육군위생부견습사관)이라고 했다. 檢微成籍表(현미경검사성적표)에는, "합격자에게 예방법을 가르켜 주지 않았다" 고 기록되어 있어서 주의를 촉구 했다(자료집61). 장병들의 성병검사도 월 1회 정도 있었는데, 장교들과 하사관들은 성병에 감염 되었어도, 숨기고 있었기 때문에, 위안부들이 성병에 노출 될수밖에 없었다. 군인들에게서 성병에 감염된다는것은 위안부들에게는 커다란 공포의 하나였지만, 언제 죽을지 모르는 상황속에서그깟 성병에 걸린다는것을 장병들은 그다지 중요시 않게 되었다는것, 콘돔등의 사용을 별로 마음에두지 않았던 장병들이 많았다는 것도 성병만연의 원인이 된것이다. 文泌基 원위안부는 "콘돔을 사용하지 않으면 사관에게 고발하겠다며 협박하는 한편 성병만연방지를위하여 사용할것을 설득 했다고 했다" 또 원위안부 文玉珠는 "콘돔을 사용하지 않는 군인을 헌병대에 신고했다" 고 했다(증언)위안부들은 성병에 감염된다는 위험속에서 일상을 살아 갔다고 보아야 하겠다.

8). 병사, 자살, 동반자살의강요 속에서,

   군위안소에서의 생활 때문에 생명을 잃는 위안부들도 적지 않았다. 河南省에 있던 한 특무기관원은, 1941년에 있었던 하남작전네서"자반병(紫班炳)으로 죽은 朝鮮人 위안부를 黃河 뚝에서 다비(茶毘)를 해 주었다는 경험을 이야기 해 주었다. (荒木虎雄"북중국도피행) 44년봄, 華北省에 파견 되었던 이등병은 거기서, 위안부의 죽엄을 목격 했다고 했다. " 쿠리(苦力)가 노래하며 뒤 따라가는 관을 보면서 물어보니, 한 위안부가 급사 했다고 했다. "원위안부 李英淑(이영숙)에 의하면, 廣東省 에 같이 연행되었던 그녀의 친구위안부는 1년후 병사 했다고 했다. 원위안부 河順女(하순녀)가 있었던 上海의 위안소에서 평양출신 위안부가 아편중독으로 사망, 원위안부 文玉珠(문옥주)는, 필리핀 만다라에서 아카푸에 가는 도중, 선배위안부가 페렴으로 사망 했다고 했다. 많은 위안부가 위안소 생활을 비관 자살을 기도 했다. 원위안부 金德鎭(가명)은 "일본군이 중국여자들을 위안부로 체포 해 왔을 때, 도망하거나 자살하는 여성들이 많았다" 고 했다. 이런 이야기를 上海위안소에서 들었다고 했다. 또 몸이불편할때, 몇번이고 죽으려 했지만 그리 못 했다고도 했다. 버마 양곤에 있던 원위안부 李用女(이용녀)는, 소주와 아편을 먹고 자살한 위안부를 화장 하면서 우리들 위안부들을 불러 세우고 보여주었다고도 했다. 살아서 돌아왔던 자신도 위안소에 있을 때 자살을 기도 했었다고 했다. 文玉珠는 스스로 지원해 버마에 갔는데, 아걉프에 있을 때, 자신을 비관 술을 마시고 3층에서 뛰어 내려 부상을 당했다고 했다. 인도네시아 구다라쟈에 있을 때, 같이 있던 원위안부 李得南(이득남,가명) 은 약을 먹고 죽으려 했지만, 떠오르는 어머님의 얼골을 보며 죽지 못 했다고 했다(이상증언). 절망한 군인이 위안부와 같이 정사를 도모 하는 경우도 있었다. 제13사단장 內山英太郞 중장의 보고에 의하면,  宣昌의 군위안소 "一力"의 조선인 위안부와 장차 동거 할것을 바랐던 한 병사(新寫에 처가 있었다)는, 42년2월, 이 여성에게, 요리집에 가자고 요구, 이를 거부하는 여성에게 정사를 강요하며 권총을 발사 위안부에게 중상을 입히고 본인은 자살 했다.(특별보고 중 군인변사 사건) 또, 원위안부 宋神度(송신도)는 친하게

지나던 병사에게서 정사를 강요 당해 복부에 자상을 입었다고 했다. (前揭, " 황군위안소의 여인들") 위안부들에게는 칼을 드리대며 정사를 강요하는 군인들도 다,  무서운 존재 였다. 이상과 같은 환경속에서 군 위안소 여성들은 매일매일 일본군 장병들에게 성적봉사를 강요 받고 있었다. 일본군은 이러한 여성들을 무더기로 끓어 드려 이들을 보호하는 군법은 하나도 만들지 않고 성착취를 자행 했다.  사실상의 성노예제도를 가졌던 일본

국내의 공창에서도 18세 미만의 여성의 성매매를 금지했으며, 성년의 여성이 공창에서 사역을 할때, 외출, 통신, 면접, 직업등의 자유를 인정 했음에도 불구, 군위안소의 위안부에게는 이런 정도의 보호규정마저 안 주었던 것이다. 종군위안부는, 군을 위한 성적노예이상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9 종군 위안부, (각국 군대의 경우 ) [1] 김일하 2021.11.10 1517
88 종군위안부, 패전후의상황, [3] 김일하 2021.10.19 25
87 종군위안부; 국제법위반과 전범재판 그 4, 김일하 2021.08.25 29
86 종군위안부, 국제법위반과전범재판, 그 3, 김일하 2021.08.24 17
85 종군위안부, 국제법위반과전범재판 그 2 . 김일하 2021.08.14 17
84 종군위안부,국제법위반과전범재판 그 1, 김일하 2021.08.09 16
» 종군위안부, 위안소의 日常은어떤 모양? 그 2. 김일하 2021.07.06 22
82 종군위안부, 위안소의 일상(日常)은 어떤 모양이었을까? 그 1. 김일하 2021.06.22 68
81 종군위안부;(강요되었던 위안부들의 삶) 김일하 2021.06.08 13
80 종군위안부(동남Asia의경우): 김일하 2021.05.25 32
79 종군위안부군; 中國(중국)의 경우; 김일하 2021.05.17 21
78 종군위안부( 台灣(대만)의 경우); 김일하 2021.05.07 24
77 종군위안부;(朝鮮의경우, 그 2 .) 김일하 2021.04.19 47
76 종군위안부;(朝鮮의경우 그, 1) 김일하 2021.04.11 30
75 종군위안부; 김일하 2021.04.05 18
74 종군위안부 김일하 2021.03.04 20
73 종군위안부; 육군성이 도항을 관활 했다.. 김일하 2021.01.26 28
72 종군위안부; 동남 Asia, 태평양전쟁기, 김일하 2021.01.24 13
71 종군위란부, 김일하 2021.01.05 21
70 종군위안부, 유군중앙과국가의 관여. 징조를 찾아서; 김일하 2020.12.27 82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