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착을 버리는 방법 **

2016.10.02 09:00

김승훈(41) 조회 수:2173





[사진 : 해인사 원당암]

연한 초록의 물결이
숲으로 산으로 툭툭 번지는 모습에서
신비롭고도 평화로운
대자연의 깨어있는 속살을 살펴보는 듯 하여
아주 설레고도 평안해 옴을 느낍니다.

땅 위로는 초록의 작은 생명들이
흙 사이로 어느새 툭툭 튀어올라
흙색과 초록색의 짠한 조화를 선사해 주고 있습니다.

불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에서는

집착을 버리라, 마음을 비우라, 욕망을 놓으라고

이야기하곤 합니다.


집착을 버리고, 욕망을 놓아버리는 것에서

삶의 행복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얼마 전에는 어떤 목사님의 '놓아버림'이라는 책이

화제가 되고 있기도 하지요.


욕망과 집착을 놓아버려야 합니다.

방하착 해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서 아주 중요한 의문이 하나 들 것입니다.
이렇게 집착이 무엇인지를 찾기는 했고,
그 집착을 놓아버려야 하는 것은 알겠는데,
도대체 '어떻게' 집착을 놓아버릴 수 있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방하착하라, 
집착을 놓아라,
아상을 놓아라,
욕심을 버려라,
마음을 비워라,
이거야 누구든 다 아는 사실이고,
정말 중요한 것은 
도대체 그 어린아이도 다 아는 이 진리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일 것입니다.

그러면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합시다.
집착을 비우라, 놓으라고 하는데,
그 집착을 비우고 놓으려면
먼저 어떻게 하면 될까요?

아주 기본적으로 집착을 놓아버리려면
먼저 내가 집착하고 있던 바로 그 집착의 대상이
‘그다지 집착할 만 한 것이 아닌 것’이 되면 가능해 질 것입니다.

쉽게 말해 우리가 집착을 하는 이유는
‘그것이 집착할 만 한 것’, ‘집착할 만큼 좋은 것’
‘집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
이기 때문에 집착하는 것입니다.

즉 집착할 만큼 좋은 것이고, 
집착했을 때 내게 무언가를 가져다주는 것이며,
집착할 만한 그럴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만약에 그동안 내가 집착하던 것들이
집착할 만한 가치가 없는 것이라고 증명된다면,
즉 그다지 집착할 필요가 없었다는 것이 증명된다면
아마도 그동안의 집착을 버릴 수가 있게 될 것입니다.

집착하면 무언가가 나올 줄 알고,
집착하면 엄청난 무언가가 있을 줄 알고,
집착하면 그로인해 나에게 아주 좋은 것이 있을 줄 알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까 그것이 집착할 만큼 매력적인 것이라거나,
집착할 만큼 그렇게 항상하는 것이라거나,
집착할 만큼 그렇게 좋은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당장에 그 집착을 거두어 들일 수 있고,
그 집착을 버릴 수 있을 것이란 말이지요.

현재 내가 집착하고 있는 것들이
내가 생각하는 것처럼 그렇게
정말로 과연 집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들일까요?
이 사실을 한번 깊이 사유해 보도록 합시다.

내가 집착하고 있는 대상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사람에 대한 집착, 사랑에 대한 집착, 물질에 대한 집착, 
생각에 대한 집착, 종교에 대한 집착, 나에 대한 집착, 생명에 대한 집착,
돈과 명예, 권력, 지위 등에 대한 집착 등 아주 다양합니다.

그런 것들이 ‘집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그것에 집착을 하고 있었다는 것이지요.

이런 집착의 대상들이 사실은 집착할 만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사유해 보기 위해
이 모든 것들의 특징을 한번 살펴봅시다.

이상에서 언급했던 집착의 대상들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먼저 가장 큰 첫 번째 특징은
‘그 모든 것들은 변한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제행무상이라는 것이지요.

사랑도 변하고, 사람도 변하며, 돈도 명예도 권력도 변하고,
생각, 종교, 사상, 재산 등 이 모든 것들이 다 변합니다.
우리가 집착하고 있는 대상들 중에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언제까지고 우리가 꽉 붙잡고 있을 수 있는 것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그 모든 것들은 인연 따라 잠시 내게 왔다가
인연이 다하면 언젠가는 분명히 사라질 수밖에 없는 것들입니다.

예, 분명히, 반드시, 절대로 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사라지지 않는 것, 변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부처님께서도 제행무상이라고 하여
이 세상의 모든 것들은 항상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우리가 ‘이것 아니면 안 된다’고 생각했던
바로 그 집착의 대상이 언젠가는 소멸되어 없어진다는 말입니다.
집착이란 언제까지고 내 것으로 만들고 싶어하는 마음입니다.
그런데 그 모든 집착하는 것들은 언제까지고 내 곁에 있어주지 않습니다.
때가 되면 내 품에서 벗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그것이 내 곁에서 벗어나는 것을 참을 수 없습니다.
그것이 바로 집착의 특성이니까요.

여기에서 바로 아주 중요한 삶의 비밀스런 본질이 드러납니다.
우리가 집착하는 모든 것은 변하며,
그렇기에 우리가 무언가를 집착한다는 것은
곧 괴로움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입니다.
집착은 반드시 괴로움을 몰고 옵니다.
이것이야말로 영원한 진리입니다.

사람들은 많은 돈을 꿈꾸지만,
돈이란 언젠가는 내 곁을 떠날 수밖에 없는 것일 뿐입니다.
지위와 명예와 권력을 꿈꾸지만
언젠가 그것들은 내 품에서 사라져 갑니다.
내가 사랑하던 사람들과도
언젠가는 영원한 이별을 고해야 합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것들이 영원히
내 곁에 있어주길 바랍니다.
잠시 인연 따라 왔다가 인연 따라 갈 것이라는 것을
매 순간 잊어버리곤 합니다.

만약 그 사실을 잊어버리지 않는다면,
그래서 잠시 인연 따라 그것을 쓰기는 할지언정
거기에 마음이 얽매여 집착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아주 자유로운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두 번째 우리가 집착하고 있는 대상들의 특성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점입니다.
제법무아라고 하지요.

우리가 어떤 것에 집착하는 이유는
그것이 우리에게 무언가를 가져다 준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높은 명예나 지위에 집착하고 있다면
내가 그 지위에 오르는 순간,
우리는 나와 그 지위를 동일시하곤 합니다.
나의 정체성이 바로 그 지위가 된다고 착각합니다.
그리고 그 지위라는 정체성이 나를 높여준다고,
나에게 많은 것을 안겨준다고 착각을 하게 됩니다.
아상이 생겨나는 것이지요.
그래서 거기에 집착하는 것입니다.

거기에 집착하고, 그 집착하는 것을 얻었을 때
우리는 그 집착의 대상과 나를 동일시하고,
그 동일시가 나를 어떤 존재로써 정체성을 심어주며,
그것이야말로 나의 어떤 실체성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그럼으로써 우리는 ‘나 자신의 어떤 실체성’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러나 거기에 나라는 어떤 실체적인 것은 없습니다.
나라는 것은 무아(無我)인 것입니다.
그것이 나인 것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그것을 ‘나’라고 착각합니다.

예를 들어 내가 사장이나 국회의원이 되었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 때 우리 안에는 ‘사장’이요, ‘국회의원’이라는
자기정체성이 생겨나고, 나와 ‘사장’을 동일시하며,
나의 실체성이 ‘사장’ 혹은 ‘국회의원’이라고 착각하게 됩니다.
내가 어떤 그럴싸한 직업을 가진 사람이며,
내가 어떤 위치에 오른 사람이라고 스스로를 동일시하게 됩니다.

그러나 사장이라는, 국회의원이라는, 선생님이라는,
성직자라는, 부자라는 그 이름에 어떤 실체성은 없습니다.
그것은 다만 이름일 뿐이고, 하나의 상징일 뿐입니다.
그저 그렇게 이름붙이기로 약속했을 뿐입니다.
그렇게 약속했다고 해서 그것이 내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여전히 나는 그저 나일 뿐입니다.
성직자라고 하더라도 성직자라는 이름 속에
성스러움이나, 신과의 연결성이나, 깨달음 등이 
들어 있는 것은 아닌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참된 성직자는 스스로 성직자라는 사실을 잊습니다.

참된 성직이라는 것은 
그 성직자라는 이름 속에, 수행자라는 이름 속에
그 어떤 실체적인 것이 들어있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말과 생각과 행동이라는 업, 행위 속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그 행위가 바르지 않다면 그 사람이 아무리 승복을 입고 있고,
사제복을 입고 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그 알맹이는 성스럽지 못합니다.

다시말해 우리가 집착하고 있는 대상의 두 번째 특성은
그 어떤 것도 ‘고정된 실체’가 있지 않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어떤 대상에 집착하는 이유는
그것이 어떤 고정된 것이어야 하고,
실체적인 것이어야 하며,
그로인해 우리에게 실질적인 어떤 것을 안겨주어야 합니다.

고정된 실체가 없는 대상이라면
그야말로 아지랑이같고, 환영 같으며, 신기루 같아서
겉만 그렇게 보일 뿐
실제로는 그렇지 않는 것인데
거기에 집착할 이유가 있겠습니까?

우리가 집착하는 이유는
그것에 어떤 실체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우리가 집착하는 그 모든 대상들에는
고정된 실체가 없습니다.

이 세상 그 어떤 것도 실체적인 것으로써
항상하지 않습니다.
그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하는 것이며,
그 어떤 실체도 없이
다만 인연 따라 잠시 그렇게 보였을 뿐인 것입니다.

인연 따라 사장도 되었다가,
인연 따라 국회의원도 되었다가,
상황 따라 아버지도 되고, 아들도 되고, 이웃사촌도 되고,
끊임없이 역할을 바꾸면서 변해갈 뿐
어떤 한 가지 이름으로 
어떤 한 가지 직업이나 모습으로
딱 정해져 있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실체화시키기 좋아하는 종교나 문화에서는
예를 들어 성직자가 되는 순간
그 사람에게는 절대불변의 그 어떤 실체적인 
성직자로써의 무언가가 부여된다고 믿습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그 어떤것도 실체화시키지 않습니다.
모든 것은 제법무아입니다.

스님도 수행자의 길을 걷다가
환속하여 재가자가 된다면 그 사람은 재가자가 되는 것입니다.
한번 스님은 영원한 스님이 되야할 필요는 없습니다.
어떤 사람도, 어떤 직위도, 어떤 것들도
고정불변한 실체적인 것은 없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두 번째의 사실, 즉 제법무아에 비추어 보았을 때
우리가 집착할만한 대상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실체적이라야 집착을 할 것인데,
꿈 같고, 환영 같고, 아지랑이 같고, 신기루 같다면
누가 거기에 목숨걸고 집착을 하려 하겠습니까.

사실 우리가 지금까지 지키려고 애써왔고,
가지려고 애써왔으며,
목숨걸고 지켜왔던 그 모든 집착의 대상들은
이러한 제행무상과 제법무아라는 두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삼법인의 가르침에서 보면
제행무상과 제법무아인 모든 것들은
일체개고일 수밖에 없다고 합니다.

항상 하지 않고, 끊임없이 변하며,
고정된 실체도 없이 
다만 인연 딸 잠시 꿈처럼, 환영처럼 나왔을 뿐이라면
거기에 집착할 아무 이유도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무상과 무아인 대상에 대해 집착을 함으로써
고(苦), 괴로움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삼법인이라는 가르침의 핵심입니다.

이러한 삼법인의 가르침에 비추어 본다면
우리가 집착해야 할 대상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즉, 삼법인이기 때문에,
제행무상, 제법무아, 일체개고이기 때문에
집착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는 말입니다.

무상과 무아를 사유함으로써
내가 지금까지 집착해 왔던 바로 그 대상이
사실은 ‘집착할 만한 것’이 아님이 증명된다면,
‘집착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님이 증명된다면
자연스럽게 우리의 집착은 놓여질 것입니다.

내가 집착하던 모든 대상들을 찾아 보았다면,
이제 그 하나 하나의 집착 목록을 살펴보면서
낱낱이 그것의 무상성과 무아성을 사유해 보시기 바랍니다.
무상과 무아를 사유하게 되면
저절로 그것에 집착하는 것은 곧 괴로움이라는 것이 증명됩니다.

이렇게 해서 그것이 사실은 집착할 만한 것이 아니었음이 증명되면
저절로 그동안 붙잡고 있었던 것들을 놓아버리게 됩니다.
그동안의 집착과 아집과 욕망들을 비워버리게 됩니다.

어느정도 이해가 되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물론 바로 놓아지지는 않겠지요.
그래서 내 삶을 놓고
우리는 사유와 관찰을 시작해야 하는 것입니다.

나라는 존재, 내가 만드는 삶을 있는 그대로 관찰할 때
그 관찰의 결과 우리는 무상과 무아를 깨닫게 됩니다.

마음관찰은 
이상에서 설명한 삼법인의 가르침을
그저 머릿속으로만 이해하고 있던 것을 넘어서서
온 존재로 체험하도록 이끌어 주고,
온 존재로 깨닫도록 이끌어 주는 수행법인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도 바른 마음 관찰을 위해
절수행이라는 방편을 빌어
몸도 마음도 관찰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바른 관찰과 수행을 통해
무상과 무아를 바로 보고 깨닫게 되고
그것은 곧 우리를 방하착으로 이끌며
방하착은 곧 괴로움으로부터의 해방을 가져오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씀을 드려도 또 묻습니다.
왜 놓아야 하는지는 잘 알겠는데,
구체적으로 놓는 방법, 비우는 방법 좀 알려달라고 말이지요.
놓아버리고 싶은데 어떻게 놓아버려야 하느냐고 말입니다.

집착을 놓을 때는 어떻게 놓습니까?
그것은 마치 무언가를 결심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예를 들어 내일부터 아침에 운동을 해야겠다고 
신년을 맞이하여 결심을 했다고 생각해 봅시다.
그 결심이 굳지 않은 사람이라면
하루 이틀 정도 실천하다가도 작심삼일이라고
몇 일 안가 금방 포기하고 말 것입니다.
그러나 결심이 굳은 사람이라면
한두달이 아니라, 일년이라도 아니 평생이라도
그 결심이 섬과 동시에 바로 실천이 될 것입니다.

그러면 결심을 하는데는 어떤 방법이 있습니까?
그냥 하는 것이지요.
다만 그 결심을 굳히게 된 어떤 이유가 있다면
그 결심이 아주 단단히 굳어지고
그랬을 때 포기하지 않을 수 있는 의지력이 생길 것입니다.

그 결심은 예를 들어
당장에 내 몸에 병이 들었다거나,
그래서 운동을 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거나,
혹은 가까운 사람이 운동을 안 하다보니
갑자기 병에 나서 힘들어하는 것을 보게 되었다거나,
혹은 내가 운동을 안 하다보니
몸이 힘들어지는 것이 느껴진다거나,
그것도 아니라면 내 스스로 운동의 효과에 대해 사유해 본 결과
운동이 정말 중요하다고 굳게 믿어졌다면
아마도 훨씬 결심을 굳히기 수월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집착을 놓아버리려고 한다면
거기에 ‘놓아버리는’ 어떤 방법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야말로 그냥 놓아버려야 하는 것입니다.
놓아버리는데 무슨 특별한 방법이 필요하겠어요.

결심하는데 어떤 방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결심을 하게 된 동기나 사유, 경험과 관찰이 필요한 것처럼
방하착하고, 집착을 놓아버리는데도
놓아버리는 특별한 방법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놓아버려야만 하는 이유, 사유, 관찰이 필요한 것입니다.

집착을 왜 놓아버려야 하는가 하는 이유,
집착의 특성과 속성이 무엇인가하는 사유,
도대체 내가 집착하는 이것은 무엇인가하는 바른 관찰 등이
우리를 곧바로 ‘놓아버림’으로 이끄는 것입니다.

억지로 놓는 것은 놓는 것이 아닙니다.
바른 이해와 바른 사유와 바른 관찰을 통한
바른 깨달음만이 바른 놓음으로 이끄는 것입니다.

방하착을 화두로 삼고,
왜 집착을 버려야 하는지,
집착을 버려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내가 집착하는 그 대상이 과연 집착할 만한 것인지,
집착할 가치가 있는 것인지,
집착의 대상의 특성이 무엇인지,
그 대상이 무상, 무아의 특성이 있기는 한 것인지를
깊이 깊이 사유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한 사유를 통해
저절로 방하착이 체험되어지기를 빕니다.

-법상스님-

X
Login

브라우저를 닫더라도 로그인이 계속 유지될 수 있습니다. 로그인 유지 기능을 사용할 경우 다음 접속부터는 로그인할 필요가 없습니다. 단, 게임방,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이용 시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으니 꼭 로그아웃을 해주세요.

X